라벨이 다중마커분석인 게시물 표시

Neutrophil activity와 recruitment 연구를 위한 ELISA Kit

이미지
호중구(neutrophil)는 급성 염증의 특징입니다. 호중구는 식세포작용, 탈과립화 및 호중구 세포외 트랩(NET)의 방출을 통해 침입하는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해 염증 부위로 모집됩니다.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호중구(또는 NET)는 죽상경화증, 당뇨병,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 및 자가면역 질환과 같은 다양한 만성 염증성 질환과 관련이 있습니다. 게다가 여러 보고서에 따르면 종양 관련 호중구는 많은 유형의 암에서 생존율이 낮습니다. 호중구를 표적으로 삼는 것은 이러한 질병에 대한 새로운 치료적 접근 방식이 되고 있습니다.  Arigo는 호중구 활동, 모집 및 자가항체의 검사를 용이하게 하는 일련의 ELISA 키트를 제공합니다.   Neutrophil Activity 측정 ELISA Kit Human Mouse MPO ARG82988 ARG81785 MPO Activity Assay Kit ARG82770 Neutrophil Elastase ARG82775 ARG81927 NGAL ARG80941 ARG81764 Defensin AD-1 ( ARG82004 ) BD-1 ( ARG80905 ) BD-2 ( ARG80903 ) BD-3 ( ARG82252 ) BD-4 ( ARG80902 ) Neutrophil chemoattractants 측정 ELISA Kit Human Mouse Rat IL-8 ARG83357 CXCL1 ARG80208 ARG80236 CXCL2 ARG80221 ARG83230 CXCL5 ARG81777 ARG81751 G-CSF ARG80143 ARG81277     Visualization of neutrophils in tissues • Neutrophil markers MPO antibody [SP72] (ARG53344) Neutrophil Elastase antibody (ARG40838 )   • Neutrophil in inflammatio...

Gamma delta T cell validation kit

이미지
감마 델타(γδ) T 세포는 기존의 α 및 β TCR 사슬 대신 고유한 γ 및 δ TCR(T 세포 수용체) 사슬을 발현하는 작은 T 세포 하위 집합입니다. γδ T 세포는 장, 폐 및 생식관과 같은 말초 혈액 및 점막 상피 조직에 존재합니다. MHC 분자에 의해 제시된 항원성 펩타이드를 인식하는 기존의 αβ T 세포와 달리, γδ T 세포는 많은 병원체에서 발견되는 단백질 및 심지어 phosphoantigen까지도 직접 인식합니다. γδ T 세포는 자연 살해(NK) 세포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므로 종종 "선천적 T 세포"로 표현됩니다. γδ T 세포는 IFN-γ, TNF-α, IL-6 및 IL-17과 같은 사이토카인의 생산 및 분비를 포함하여 많은 기능을 수행합니다. γδ T 세포는 많은 감염 및 질병 모델에서 전염증성 (proinflammatory) 사이토카인 IFN-γ 및 TNF-α의 중요한 초기 공급원입니다. NK 세포와 유사하게 γδ T 세포는 FcR 매개 ADCC(항체 의존성 세포 독성), Fas-FasL 및 TRAIL ligation 뿐만 아니라 세포 독성 Perforin 및 Granzyme 작용을 통해 세포 살상을 수행합니다. 또한, γδ T 세포는 항종양 효과를 나타내는 자가반응성 IgE로의 B 세포 클래스 전환을 유도하고, αβ T priming을 돕는 항원 제시 세포 역할을 하며, 수지상 세포(DC) 성숙을 유발하고, NK 세포 활성을 향상시킵니다. 종양 세포는 MICA/B shedding, 이종 항원 및 낮은 항원 확산을 통해 면역 체계를 회피합니다. MHC 비의존성 γδ T 세포는 광범위한 항원 특이성, NK 유사 세포독성 및 항체 분비, αβ T 세포 프라이밍 및 DC 성숙과 같은 항종양 효과의 활성화를 통해 종양면역에 적합하여 암 면역치료 요법에서 새로운 전략이 됩니다.  대부분의 인간 γδ T 세포는 항종양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그들은 또한 전종양 (pro-tumor) 특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두 ...

RNA 발현의 공간적 시각적 분석 - ISH 분석서비스

이미지
DNA, RNA 및 단백질등의 바이오마커는 기본 세포 기능을 이해하고 임상 질환을 진단하며 최적의 치료법을 식별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입니다. 특히, RNA는 유기체에서 발생하는 동적 유전자 발현 변화를 확인하는 이상적인 지표입니다.  ACD사에서는 손상되지 않은 조직 내 단일 세포 수준의 in situ 유전자 발현을 포착하는 ISH 분석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방법은 세포 간 상호 작용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형태학적 맥락에서 분자를 검출합니다.  RNAscope ISH 분석은 특허받은 신호 증폭 및 백그라운드 신호 억제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기존 RNA ISH에 비해 특이성과 민감도가 크게 향상됩니다. 가장 대표적인 RNAscope ISH 분석 사례를 소개합니다. 1. Single Cell Analysis 단일 세포 RNA 시퀀싱(scRNA-Seq)으로 개별 세포의 전사체 프로필을 특성화하는 것은 알려진 세포 유형과 새로운 세포 유형을 식별하고 조직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보편적인 도구가 되어 단일 세포 생물학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습니다. 이는 특히 포유류 뇌 및 종양과 같이 세포 이질성이 높은 복잡한 기관 및 조직에서 사실임이 입증되었습니다. 그러나 scRNA-Seq는 분리된 세포를 활용하므로 분석 중인 세포 집단의 공간 조직이 손실됩니다. 따라서 단일 세포 및 공간적 유전자 발현 모두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RNA in situ hybridization(ISH)과 같은 방법으로 scRNA-seq 분석을 보완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RNAscope Assay는 강력하고 특이성이 높으며 민감한 멀티플렉스 RNA ISH assay로, 높은 처리량의 단일 세포 전사체 결과를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단일 세포 수준에서 최대 4개의 특정 마커를 이용하여 최대 4개의 다중분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IHC와 결합 가능). 이러한 분석을 통해 단일 세포 내의 개별 유전자 및 유전자 시그니처 발현 프로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전사 결과를 검...

Luminex Multiplex System으로 다중 마커 분석

이미지
Luminex Multiplexing System  1. Multiplexing이란 무엇인가요?   여러 종류의 바이오마커를 한번의 실험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기존의 ELISA 분석은 타겟당 각각의 킷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분석하고자 하는 샘플이 많을수록 그만큼 시간과 샘플과 비용이 많이 필요한 반면, Multiplex는 하나의 well에서 실험을 진행하므로 여러 부분에서 절감할 수 있습니다.  비결은 6.5um의 Magnetic bead 입니다. 1번부터 500번까지 서로 다른 형광 강도를 갖고 있는 Luminex 전용 Magnetic bead에 항원, 항체, 올리고, 펩타이드, 다당류, 저분자 화합물등, 다양한 물질을 coupling할 수 있습니다. 또한 immunoassay 및 nucleic acid application에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xMAP 기술의 작용 원리는 무엇인가요? xMAP 기술은 라벨이 붙은 마이크로스피어 또는 비드를 사용하여 단일 반응에서 여러 분석물을 동시에 캡처할 수 있습니다. 크기가 작고 밀도가 낮기 때문에 xMAP 미소구체 기반 분석은 반응 동안 가상 용액상 역학을 나타냅니다. 비드는 xMAP 기기를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읽습니다. xMAP은 Multi-Analyte Profiling (다중 분석물 프로파일링)으로, 여기서 "x"는 테스트 중인 바이오마커(예: 단백질, 핵산 또는 다당류)를 나타냅니다. 3. 어떤 연구에 사용할 수 있을까요? Biomarker characterization Exosome studies Gene expression analysis Identification of secreted proteins Mechanism of action studies microRNA analysis Pathogen detection and typing Protein:protein interactions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