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 조절, SARS-CoV-2 내성, 항히스타민 연구 리뷰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 환자의 만성 통증에 대한 잠재적인 치료 타겟을 밝혀낸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칼슘 방출 활성화 채널(CRAC)과 SARS-CoV-2 내성에 대한 연구 및 암세포가 면역 요법을 회피하는 데 히스타민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함께 살펴봅니다. 


후성유전적 탈메틸화에 의한 통증 조절


과민성 대장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은 명확하게 밝혀진 원인은 없지만 많은 사람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많은 질병과 마찬가지로 염증과 부상이 원인일 수 있으며 DNA 메틸화가 요인이라는 증거도 있습니다. 중국 쑤저우 대학에서 진행한 이 연구는 추가 조사를 위해 ChIP, 패치 클램프와 몇몇 기능 분석을 하고, 신생아 결장 염증(Neonatal Colonic Inflammation, NCI) 쥐 모델을 사용했습니다. TET3 methylase와의 물리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GATA1에 의해 유도되는 p2x7r locus의 DNA 메틸화가 NCI 모델 쥐에서의 만성 통증의 조절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작용 기전을 밝히는 것 외에도 GATA1와 p2x7r locus의 결합이 IBS의 통증 억제에 대한 흥미로운 치료 표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주요 제품

Immunofluorescence :
 Anti-P2X7 Receptor Antibody (#APR-004)
 
Western blotting :
 Anti-P2X1 Receptor Antibody (#APR-001)
 Anti-P2X2 Receptor Antibody (#APR-003)
 Anti-P2X3 Receptor Antibody (#APR-016)
 


ORAI1, IFN-I와 SARS-CoV-2 내성의 관계


IFN-I IFN-II를 전처리한 사람 세포나 IFN-I 신호 전달 증폭이 SARS-CoV-2 감염에 대한 저항에 기여하여, 긴장성 IFN-I 신호 전달이 SARS-CoV 2에 대한 장벽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IFN-I 반응은 저장에 의해 Ca2+ 유입에 필수적인 두 요인인 ORAI1 STIM1에 의해 어느 정도 조절될 수 있습니다. University of California의 연구에서는 ORAI1 STIM1 녹아웃 세포주를 생성하여 추가적인 조사를 했습니다이 연구는 CRAC 채널 구성 요소인 STIM1 ORAI의 손실이 감염에 대한 놀라운 내성을 야기하는 것을 보여주어 내재 면역 체계에서의 역할을 밝혔습니다.
 Anti-Human Orai1 (extracellular) Antibody (#ACC-060



항히스타민제를 이용한 면역 요법 효과 향상

University of Texas MD Anderson Cancer Center의 과학자들은 히스타민과 히스타민 수용체 H1(HRH1)이 종종 종양 미세 환경에서 높은 수준으로 존재하고 면역 요법을 하는 중에 H1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는 흑색종 및 폐암 환자가 훨씬 더 나은 임상 결과를 보였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암세포가 히스타민을 통해 면역계와 면역 요법을 회피하는 것으로 보입니다암세포에서 유래하거나 알레르기로 인해 방출된 히스타민 분자는 CD8+ T 세포 기능을 억제하는 종양 관련 대식세포의 HRH1에 결합합니다.그로 인해 종양 성장이 빨라지고 면역 요법에 대한 내성이 증가합니다.

주요제품

유세포 분석 :
 Anti-Histamine H1 Receptor (HRH1) Antibody (#AHR-001)








Alomone Labs 제품 문의 : 고마바이오텍(주) (02-579-8787)